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컨트롤 콘솔 기본장치 ii

날아올라80 2024. 6. 28. 10:14

목차



    목차

      네 개의 입력과 하나의 프로그램 채널로 이뤄진 콘솔

       

      이제 우리가 가정하는 마이크 하나의 입력을 갖는 콘솔상황에서 (여전히 가정이지만) 좀더 유용한 4개의 입력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증폭기라는 상황으로 옮겨보자. 이때의 입력은 (그림 2-4)에 보이 듯이, 두개의 마이크와 두 개의 레코드 재생 턴테이블을 포함한다.
      마이크와 전치증폭기, 포트(pot), 키(key)로 형성된 기본연결망 은 앞에서 말한 기본 콘솔에서 말한 것과 동일하다. 버스(buss)는, 하나 또는 모든 입력 체인이 켜져 있든 꺼져 있든 간에, 또한 입력 체 인상에 부하(《#)가 부과되어 있든 그 부하가 변화하건 간에, 균형 된 회로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안된 전기적으로 공통된 타이포인 (electronically common tiepoint)이다. 이 버스는 입력채널을 많 은 것으로부터 적은 것으로 믹스다운(mix down) 할 때 사용한다.


      둘 이상의 버스를 가진 모든 콘솔에는 할당 스위치(assign swi-tch)가 있으며, 흔히 홀수의 버스는 짝수의 버스와 함께 같은 스위 치에 짝을 이루어 있다. 그 다음에는 팬포트(panpot: 또는 입력 채 널상의 패닝컨트롤)가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홀 • 짝수 버스 결합으 로 보내는 양을 결정한다. 버스는 출력 커넥션(connection)에서 끝 난다.

      각각의 입력경로에 있는 키를 기능별로 보여준다. 


      이 키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또 다른 요소를 설명해야 한다. 실제로, 키는 프로그램 버스로 연결될 수도 있고, 오디션 버스로 연결되기도 하며,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콘솔은 입력채널에 하나 이상 의 키나 스위치를 가지며 이로 인해 입력은 다수의 버스로 연결 또는 할당된다. (그림 2-4)의 오디션 버스는 오디션 증폭기에 신호를 보 내며 (feed), 곧이어 오디션 라우드스피커에 신호를 보낸다.
      각각의 입력은 각각의 포트를 가지며, 이때 포트는 프로그램 버스 로 보내진 이득(gain) 할당량을 변화시킨다.
      프로그램 출력이나 라인증폭기에는 마스터 포트(master pot)가 있다. 이것은 프로그램 채널의 이득 전반을 조정한다. 프로그램 채널 출력의 좌우를 가로질러서 VU미터와 모니터 증폭기가 있으며, 모니 터 중폭기를 지나서는 모니터 포트가 있어 조정실과 스튜디오의 모 니터 라우드스피커에서 나오는 볼륨을 조정한다. 모니터를 통해 오 퍼레이터는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스위치 조작 을 통해 컨트롤 콘솔을 통과하는 모든 신호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요약하자면, 예로 든 콘솔에서 라인 또는 프로그램 증폭기는 프로 그램 신호를 그것이 필요한 곳 어디에나 보내주며, 오디션 증폭기는 신호가 프로그램 소스로 보내지기 전에 그것을 미리 들을 수 있게 해 준다. 그리고 모니터 증폭기는 프로그램 소스를 들을 수 있게 해준 다.
      콘솔 오퍼레이터는 콘솔 내의 키와 포트를 조작함으로써 조정기능 을 한다. 포트는 이득 컨트롤러이며, 동시에 믹서(mixer), 페이더 (fader), 어테뉴에이터(attenuator), 가변 패드(variable pad)라 불린다.
      오퍼레이터는, 다양한 콘솔 입력의 수준을 감지하고, 균형을 갖추며, 계기판의 변화에 따라 포트를 조정하며, 모든 프로그램 채널 출 력의 수준을 조정하기위해 VU미터를 사용한다.


      이 콘솔 내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마이크는, 오퍼레이터가 키를 0n 또는 프로그램 포지션으로 하거나, 적당한 포트에 이득을 실어보낼 경우에 사용한다. 이득을 싣는다는 것은 음량이 VU미터 상에 바라 던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마치 수도꼭지처럼 열거나 잠그듯이) 포트 노브(pot knob)를 돌려서 조정한다. 레코드 턴테이블의 출력도 비 슷한 방식으로 조정한다.
      프로그램 증폭기의 출력 상에 위치한 마스터 포트는 프로그램 채 널이 사용될 수 있게끔 열려있어야 하며, 마스터 포트는 또한 전체 프로그램 채널의 레벨 컨트롤러(level controller)로 이용된다. 비슷 한 방식으로 모니터 포트는 청각모니터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끔 되 어 있어야 한다.
      끝으로, 몇몇 콘솔에는 필터 및 등화기기 (filtering and equaliza-tion component)가 입력연결망에 놓여 있어 필요에 따라 스위치로 조작된다. 

       

       

       

      하이레벨 입력

      여기서는 논의의 초점을 콘솔로 들어가는 50에서 60dB의 저 레벨(lower level) 입력에 맞추었다. 이러한 입력에는 이득을 사용 할 수 있는 수준까지 끌어 올리기 위해 전치증폭기가 필요하다. 테이 프• 디스크 재생장치나 원거리 라인 증폭기로부터 들어온 콘솔 입력 은 +4dB정도의 수준으로 프로그램 증폭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이 득과 함께 콘솔에 당도한다. 이 때에는 전치증폭기가 필요없는데 왜 냐하면, 하이레벨 입력 체인은 전치증폭기 주변에서 스위칭(Swi-tching) 또는 루팅(routing) 되거나, 단순히 입력 포트나 키-프로 그램 버스로 연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콘솔은 각각의 입력에 스 위치가 있어서 하이레벨이나 로우레벨 입력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림 2-5)는 하이레벨 입력 체인을 보여준다.

       

       

      포트, 노브를 대체한 버티컬 페이더

       

      수도꼭지처럼 열고 잠글 수 있는 기존의 콘솔 상의 크고 둥근형의 노브(knob)는 콘솔면이 데스크의 윗부분과 평행하거나 데스크 윗부 분으로 솟아오른 형태의 현대적 콘솔에서는 좀더 기능적인 슬라이딩 버티컬 페이더(sliding vertical fader)로 대부분 대체되었다.
      페이더는 전통형 포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나, 콘솔 표면에 손가 락을 이용하여 아래 위로 움직일 수 있는 작은 슬라이딩 노브(sli-ding knob)와 함께 수직적으로 표시된 눈금자의 형태로 나타나 있 다. 버티컬 페이더에 있어서 최대 이득은 슬라이드의 제일 윗부분이 며 최소 이득이나 오프 포지션은 제일 아랫 부분이다. 어떤 버티컬 페이더는 입력체인을 큐-포지션(Cue position)에 두기위해 바닥에 서 한단계 내려간 곳에 디텐트 포지션을 가지고 있기도 한다.
      버티컬 페이더는 많은 입력을 가진 콘솔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오 퍼레이터가 한 눈에 어떤 포트나 페이더가 열려야 하며, 어느 정도로 서로 관련되어야 하는지를 말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버티컬 페이더는 프로그램이 빠르게 진행되는 동안 오퍼레이터가 더욱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구별을 위해 버스 페이더는 입력 채널 페이더와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오디오 에너지는 콘솔의 입력 채널로부터 버스로 흐른다. (그림
      2-6)

       

       

      오디션, 큐잉, 토크백 시스템

       

      마이크나 턴테이블 입력 키가 'on'이나 프로그램 포지션에 있을때, 그 연결망은 '라이브(live)'를 프로그램 채널이나 방송으로 보내 고 있는 것이다.
      테이프나 음반이 프로그램 채널로 보내지는 동안, 스튜디오 내부 에 있는 아나운서나 다른 연기자가 스튜디오 마이크(이 마이크는 프 로그램 채널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를 통해 조정실과 대화하 기 위해서 제3의 혹은 반대편 위치, 큐 또는 오디션 포지션(Cue or audition position) 등이 마이크 키에 제공된다.
      콘솔 상의 입력 키는 프로그램 • 오프• 오디션(program off audition)이라는 세 가지 선택 포지션을 가진다. 입력 키는 콘솔 전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에 상응하는 포트 위에 있다. 그리고 콘솔 디자인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작동된다.
      버티컬 페이더가 달린 콘솔에는 키 대신에 푸쉬 버튼 스위치가 있 다. 어떤 콘솔에는 페이더 밑부분에 큐를 위한 디텐트(detent) 스위 치가 달려 있다. 작동 푸쉬버튼은 그 기능을 작동시키게 되면 깜박거 린다. 일련의 누르는 할당 스위치를 가진 콘솔을 이용하여 오퍼레이 터는 입력을 프로그램이나 오디션 버스로 보내거나 또는 하위 입력 그룹에 할당할 수 있다. 스테레오 입력 콘솔은 팬포트 컨트롤(pan-pot control)을 가지기도 하는데, 이것은 좌우의 두 스테레오 채널사 이로 입력을 패닝(panning)할 수 있게 해준다.
      턴테이블이나 테이프 입력 상의 키가 오디션 포지션에 있으면, 오 퍼레이터는 이러한 입력을 프로그램 채널로 옮기지 않고서도 들을 수 있다. 같은 유형의 오디션 포지션이 레코드나 테이프를 끼워 넣을 때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10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입력 키를 큐 포지션에 놓으면, 그 입력은(큐 또는 오디션 앰프로 알려진) 콘솔 내의 또 다른 증폭기로 보내진다. 이 증폭기는 큐 스피 커라 불리는 따로 떨어진 라우드스피커(seperate loudspeaker)로 이를 전달한다. 오퍼레이터는 모니터 스피커를 통해 프로그램 채널 을 들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그가 오디션이나 큐하고자 하는 큐 스피커 상의 어떤 입력도 들을 수 있다. 오디션 증폭기 건너편에 있 는 VU미터는 큐하는 동안의 레벨을 알아보는데 이용된다.

       


      .
      마이크 키를 오디션 포지션으로 놓으면, 스튜디오 안의 아나운서 는 조정실과 대화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이에 응답할 수 있어 야 한다. 오디오 컨트롤 오퍼레이터는 조정실 내의 토크백(talk-back) 마이크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토크백 마이크는 콘솔 상의 스프링 키나 푸쉬 버튼에 의해 작동된다. 키나 버튼 스프링은 그냥 두면 오프 포지션(off position)으로 되돌아 간 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만약 스튜디오 안에 마이크 하나 가 켜져 있다면 즉, 프로그램 채널을 피드(feed)하고 있다면, 그 스 튜디오 안의 다른 마이크 또는 조정실의 토크백 마이크는 오디션 시 스템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오디션 마이크로 들어간 것이 어떤 것 이든 그것은 켜진 마이크에 잡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스튜디오에는 스튜디오 장치의 일부분으로서 모니터 스피 커가 있다. 이것을 통해 프로그램 제작참여자는 프로그램의 녹음된 부분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스튜디오 내의 마이크가 켜져 있다면, 모니터 스피커는 자동적으로 콘솔상의 뮤팅 릴레이(muting relay) 에 의해 작동이 중지되며, 마이크 키의 또 다른 기능이 구동된다. 만 약 모니터 스피커가 조정실 안에서 켜진 마이크와 함께 있다면, 즉각 마이크와 스피커 간의 피드백 루프(1oop)가 발생한다. 시끄러운 진 동음인 피드백은 신호의 반복된 증폭과 재증폭을 통해서나, 혹은 마 이크-콘솔, 스피커 -마이크로의 오디오 전달을 통해 발생한다. 피 드백은 스튜디오 모니터 포트를 끄거나 마이크 키를 단절함으로써 신속히 게거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단절하게 되 므로 잘못된 뮤팅 릴레이가 없어질 때까지 모니터를 꺼놓는게 더 적 절한 방법이다. 영국에서는 피드백을 하울-라운드(howl-round) 라 부른다.

       

      반응형